광고쟁이

SSP의 개념, 특징, 사례 및 동향 본문

마케팅 용어

SSP의 개념, 특징, 사례 및 동향

D.H' 2018. 2. 28. 11:18

1. SSP의 개념


쉽게 설명하면, 광고주들이 광고할 공간을 입찰을 합니다.


DSP (Demand Side Platform) 에 입찰을 해 낙찰이 되면, DSP는 SSP에게 광고를 전달해줍니다.


광고를 전달받은 SSP는 보유하고 있는 Publisher/매체들 (웹사이트) 에게 광고를 보내줍니다.


예를 들면, 뉴스 사이트에 뜨는 배너광고들이 SSP로 부터 받은 광고가 될 수 있습니다.




2. SSP의 특징


Publisher 에게 잘 맞는 광고를 송출하는 것도 SSP의 특징중 하나입니다.


매체마다 특성을 분석하고, 방문자의 성격을 분석하여 좋은 품질을 유지해야, 광고주와 매체가 만족 할 수 있지요.


SSP는 Impresssion 과 Click 그리고 고도화된 경우 Conversion 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광고주 또는 DSP에게 전달해줍니다.


다만, 매체에 대한 정보는 제공해주지 않습니다.





3. SSP의 사례 및 동향


국내에는 SSP가 많이 없습니다. SSP가 진입하기 힘든 장벽이기도 하지만, 매체에 대한 관리를 하기 힘들어 보통 이 분야에 진출하지 않는 걸로 판단됩니다.


부정클릭과 Fraud (사기)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SSP 진출에 허들입니다.


광고주도 똑똑해지고 있기 때문에, 전환율이 낮은 광고는 하지 않게 되지요. 반대로 DSP 에 대한 도입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입니다. 이유는 Ad exchange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입니다.


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DSP와 연동이 가장 큰 이슈입니다. 국내외 DSP와 연동이 되면 환율 문제도 있고 갑작스러운 광고 캠페인의 종료에 따른 손실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이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