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용어
- 인게이지먼트
- 광고
- playable ad
- 다알
- 쿠팡파트너스
- cpm
- 광고용어
- 미디어바잉
- 퍼포먼스마케팅
- performancemarketing
- 호갱님
- 신도림원정대
- 마케팅용어
- 마케팅
- 쿠팡
- CPE
- 알고사
- 넷플릭스
- mediabuying
- supply side platform
- ROI
- 빠삭
- eCPM
- 휴대폰
- ARPU
- 파트너스
- ARPPU
- 뽐뿌
- 미디어바이어
- Today
- Total
광고쟁이
SSP의 개념, 특징, 사례 및 동향 본문
1. SSP의 개념
쉽게 설명하면, 광고주들이 광고할 공간을 입찰을 합니다.
DSP (Demand Side Platform) 에 입찰을 해 낙찰이 되면, DSP는 SSP에게 광고를 전달해줍니다.
광고를 전달받은 SSP는 보유하고 있는 Publisher/매체들 (웹사이트) 에게 광고를 보내줍니다.
예를 들면, 뉴스 사이트에 뜨는 배너광고들이 SSP로 부터 받은 광고가 될 수 있습니다.
2. SSP의 특징
Publisher 에게 잘 맞는 광고를 송출하는 것도 SSP의 특징중 하나입니다.
매체마다 특성을 분석하고, 방문자의 성격을 분석하여 좋은 품질을 유지해야, 광고주와 매체가 만족 할 수 있지요.
SSP는 Impresssion 과 Click 그리고 고도화된 경우 Conversion 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광고주 또는 DSP에게 전달해줍니다.
다만, 매체에 대한 정보는 제공해주지 않습니다.
3. SSP의 사례 및 동향
국내에는 SSP가 많이 없습니다. SSP가 진입하기 힘든 장벽이기도 하지만, 매체에 대한 관리를 하기 힘들어 보통 이 분야에 진출하지 않는 걸로 판단됩니다.
부정클릭과 Fraud (사기)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SSP 진출에 허들입니다.
광고주도 똑똑해지고 있기 때문에, 전환율이 낮은 광고는 하지 않게 되지요. 반대로 DSP 에 대한 도입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입니다. 이유는 Ad exchange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입니다.
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DSP와 연동이 가장 큰 이슈입니다. 국내외 DSP와 연동이 되면 환율 문제도 있고 갑작스러운 광고 캠페인의 종료에 따른 손실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이 있습니다.
'마케팅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퍼포먼스 마케팅 (Performance Marketing)이란? (0) | 2021.08.04 |
---|---|
ARPU & ARPPU 차이점 마케팅 용어 설명 (0) | 2017.10.30 |
Playable Ad 플레이어블 애드 광고란? (0) | 2017.09.12 |
Media buying 미디어바잉 이란? 광고 마케팅 용어 (0) | 2017.04.13 |
eCPM 이란? 광고 마케팅 용어 (0) | 2017.04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