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광고용어
- 미디어바잉
- 넷플릭스
- CPE
- 미디어바이어
- 뽐뿌
- 퍼포먼스마케팅
- playable ad
- 휴대폰
- ARPU
- eCPM
- performancemarketing
- 광고
- 신도림원정대
- 마케팅용어
- mediabuying
- cpm
- ARPPU
- ROI
- 인게이지먼트
- 빠삭
- 다알
- 쿠팡파트너스
- 용어
- 쿠팡
- 파트너스
- 마케팅
- 호갱님
- supply side platform
- 알고사
- Today
- Total
목록마케팅 용어 (7)
광고쟁이

퍼포먼스 마케팅은 말 그대로 Performance = 성과, 즉 성과 기반의 마케팅입니다. 기존 마케팅은 투자 대비 효율을 알기 어려웠습니다. 똑똑해진 광고주들은 효율을 측정 할 수 있도록 퍼포먼스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. 매출이 전환 되는 과정을 수치로 분석하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"인사이트"와 "노하우" 그리고 "성과"에 따라 퍼포먼스 마케팅을 잘 하였는지 못 하였는지를 알게 됩니다. 물론 모든 상품에 퍼포먼스 마케팅을 적용한다고 성과가 좋은 건 아닙니다. 브랜딩이 덜 되어있는데 무조건 퍼포먼스 마케팅을 한다고 성과가 좋은 건 아니거든요.
1. SSP의 개념 쉽게 설명하면, 광고주들이 광고할 공간을 입찰을 합니다. DSP (Demand Side Platform) 에 입찰을 해 낙찰이 되면, DSP는 SSP에게 광고를 전달해줍니다. 광고를 전달받은 SSP는 보유하고 있는 Publisher/매체들 (웹사이트) 에게 광고를 보내줍니다. 예를 들면, 뉴스 사이트에 뜨는 배너광고들이 SSP로 부터 받은 광고가 될 수 있습니다. 2. SSP의 특징 Publisher 에게 잘 맞는 광고를 송출하는 것도 SSP의 특징중 하나입니다. 매체마다 특성을 분석하고, 방문자의 성격을 분석하여 좋은 품질을 유지해야, 광고주와 매체가 만족 할 수 있지요. SSP는 Impresssion 과 Click 그리고 고도화된 경우 Conversion 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광..
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. 전체로 보느냐와 지불을 하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보느냐의 관점 차이입니다. ARPU = Average Revenue Per User (유저들중 결제를 한 평균)ARPPU = Average Revenue Per Paid User (유료[돈을 지불하고 사용하는] 유저들중 결재를 한 평균) ARPU & ARPPU 의 차이를 정확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유저 5명 A B C D E 가 게임을 플레이를 하다가 A 가 1000원B 가 1000원C 가 1000원을 결제했습니다. 그럼 ARPU는 3,000원/5명= 600원 이 되구요ARPPU는 3000원/3명 = 1,000원이 되는거예요.
추진 배경앱 유저들에게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고, 앱 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앱 광고주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. 광고주는 높은 전환율, 설치(다운로드) 볼륨의 최대화, 참여 유도뿐만 아니라 LTV(Life Time Value)를 최대로 이끌 수 있는 혁신적인 광고를 원하며, 진성 유저들을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됨. 광고의 범위게임 앱의 경우 유저들이 광고에서 게임을 해보고, 그다음을 궁금하게 만들어 다운로드를 유도할 수 있겠죠. 게임 앱이 아닌 경우, 예를 들어 여행 앱은 예약 프로세스를 직접 경험해보도록 하거나 커머스 앱은 다양한 제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은행의 경우 룰렛형 미니게임을 통한 이벤트와 마케팅이 가능합니다. Playable Ad 의 장점전환율의 증..
Media buying (미디어바잉) 이란, DSP (Demand-Side Platform) 를 이용하여, 특정 미디어를 구입 하는 업무를 나타냅니다.특히 고객사 또는 회사의 효율적으로 집행되도록 각종 미디어랩과 협력하여 광고 공간, 시간, 가격등을 조정해 최상의 결과(ROI: return on investment / 투자대비수익)를 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.
eCPM 이란? eCPM이란, effective cost per thousand impressions의 약어로 수익을 노출수 대비 나누고 1,000을 곱했을때 나오는 수치로 광고주가 CPM 트래픽을 구입했을 때 ROI (return on investment) 값을 구하기 위해 쓰는 용어입니다.
CPE (Cost Per Engagement) 란?CPC, CPI, CPE? 정말 많은 용어가 있습니다.CPC (Cost Per Click) 는 링크 클릭당 과금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.1개을 클릭을 만들기위해 보통 100원정도의 비용을 지출하며, 검색광고에서는 1,000원~2,000원의 비용을 지불합니다.CPI (Cost Per Install) 는 앱 설치당 지불하는 비용으로, 비보상형의 경유 2,000원~6,000원까지 비용을 지불합니다. 반면, 포스팅과 상관없이 실제 잠재고객의 브랜드 접촉행위인 Engagement (Like, Comment, Share) 당 과금하는 상품인 CPE (Cost Per Engagement) 는 허수가 없으며, 광고에 실제 반응할 경우에만 지불하게 되어 브랜딩에 최적화된 ..